본문 바로가기

중국 동향

서먹서먹한 북한과 중국, 그리고 한국

북한은 그동안 중국에게 많은 도움과 지원을 받아왔다. 그러나, 중국에게 종속되는 걸 매우 경계했다. 이러한 정서는 김일성 때부터 지금까지 쭉 이어져 왔으며, 김정은이 집권한 이후에 점차 노골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2018년경 김정은과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을 했을 때, 김정은은 트럼프에게 체제 안전을 보장해주면 친미 국가라도 되어 줄 수 있다고 제안했다. 물론, 외교적인 발언인 것을 감안해야 한다. 북한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자기들만의 등거리 외교를 한 셈이다.
중국은 북한의 이런 동향을 거의 다 알고 있다. 그래서 더욱 더 김정은에 대한 의심과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 중국 당국은 김정은에게 가는 '1호 물품(사치품)'에 대한 단속을 실시했다. 단동을 거쳐 가는 각종 지원도 줄여가고 있다. 중국은 북한의 각종 국가 행사에 참석하는 자국 고위급 인사의 격도 점차 낮추었다. 오늘 뉴스를 보니 시진핑과 김정은 사이에 오간 친서에서도 최소한의 의례적인 구절만 있었다고 한다. 그 결과, 북한은 러시아에게 의존하고 있다.

내가 들은 바에 따르면, 중국은 남/북한 모두 신뢰하지 못한다. 북한의 사례는 이미 말했고, 한국과 관련된 사례는 다음과 같다. 중국은 전임 주한 대사를 귀국시킨 후에 후임 대사를 장기간 임명하지 않았다. 현재 대리 대사가 활동 중이다. 이게 무슨 의미인지 국제관계 혹은 정치외교 분야에 있는 분들은 알 것이다. 

중국의 입장에서 보면, 한국은 중국이 싫어하는 일들을 잔뜩 했다. 그러면서 시진핑에게 한국에 오라고 설득하고 있다. 중국과 협상을 하려면 뭔가 카드(중국이 좋아할 만한 것)가 있어야 하는데, 그게 없다. 그러면서 와달라고 뻗댄다. 중국은 이게 이해가 안되는 거다. 한국의 현 정부의 대중 외교 노선은 미국과 일본 위에 올라타서 중국과 대등한 관계를 만드는 것이다. 그 그림을 완성하기 위해서 최종적으로 시진핑을 한국으로 초청하는 것이다. 중국은 그런 판 위에 올라올 생각이 없어 보인다